본문 바로가기
실시간뉴스

난방비 인상에 대한 원인 분석(난방비 폭탄)

by 내집마련이 2023. 1. 31.
반응형

 요즘 언론에서 자주 등장하는 난방비 폭탄에 대하여 원인을 분석하고 난방비를 절약 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자.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난방비가 23년 1월로 접어들며 급격하게 오른 것은 아니다. 세계 2위의 산유국인 러시아가 2022년 2월 24일 러시아ㆍ

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함에 따라 석유, 가스 수입이 중단되고 공급이 줄어듬에 따라 원유이 폭등하게 되었다.

 

 이에 영향을 받아 산업통상 자원부는 2022년 4차례나 난방비를 인상하였다.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2022.03.31.)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2022.04.29.)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2022.06.27.)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2022.09.30.)

 

 

 

 주택용 기준으로 2022년 4월                    14.22 → 14.65 원/MJ로 3.0% 상승 

 5월                                                            14.65 15.88 원/MJ로 8.4% 상승

 7월                                                            15.88 → 16.99 원/MJ로 7.0% 상승 

 10월                                                          16.99 → 19.69 원/MJ로 15.9% 상승

 

 

상승폭을 보았을 때 2022년 10월 15.9%로 인상폭이 가장 큰 것을 볼 수 있다.

 

 

서울시 주택용 가스요금 현황

 

 

 22년 러ㆍ우 사태 등으로 국제 천연가스 가격이  21년 1분기 대비 최대 10배이상 급등하였다. 이로 인하여 가스공사의 미수금이 지속적으로 누적되어 부채가 급격히 상승하여 가스요금 인상이 불가피 하였고, 22년 요금에 일부 인상요인을 반영하였다.(4차례, +5.47 원/MJ, 38.5%)

 

 

도시가스절약 캐시백

 

 

 도시가스를 사용하는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 전년도 사용량보다 7%이상 절약하면 절감량에 따라 현금으로 돌려 주는 제도이다. https://k-gascashback.or.kr/ko/ 이 주소를 참고하면 아래의 사항들을 확인할 수 있다.

 

 

참여대상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제도

 

 

 신청기간은 23. 1월까지로 기간이 얼마 남지 않았으나 이후에 다시 비슷한 정책을 시행할 수 있으니 눈 여겨 보도록 하자.

 

 

신청기간
캐시백 지급기준

 

 이외에도 한국에너지공단에서 도시가스 절약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실내 적정 난방온도(18~20℃) 설정하기
② 적정 습도(40~60%) 유지하기
③ 적정 온수 온도(40℃) 설정하기
④ 온수 사용 이후 냉수 쪽으로 수도꼭지를 돌리기
⑤ 보일러 외출 기능 이용
⑥ 방한용품 활용하기
⑦ 보온용품 착용하기
⑧ 보일러 똑똑하게 이용하기
⑨ 보일러 난방 밸브 조정하기
⑩ 보일러 청소의 생활화

 

 

 당연한것 같지만 기본적으로 절약할 수 있는 방법들을 숙지하고 도시가스절약 캐시백과 같은 국가 지원 정책들을 활용한다면 난방비 폭탄을 조금이나마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반응형

댓글